식욕부진

아이들은 잘 먹고 잘 싸고 잘 자기만 해도 아무 병이 없다고 되어있습니다. 그 중 골고루 잘 먹느냐, 잘 안 먹느냐는 소아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되며, 향후 건강과 발육에 큰 영향을 줍니다. 소아식욕부진은 체중감소, 빈혈, 변비등을 야기하고 면역력저하, 정서장애, 학습장애, 성장부진등으로까지 이어질 수있습니다. 식욕부진이 너무 오래 지속된다면 꼭 치료를 해 주어야 합니다.
소아 식욕부진의 원인
비위기능 자체가 약한 경우 뭘 먹으면 그득해져서 소화가 더디 되므로 잘 안 먹게 됩니다. 얼굴이 누렇고 백가(마른버즘)가 잘 피며, 매사에 의욕이 없고 팔다리가 늘어지며, 환절기때만 되면 잦은 감기. 비염을 달고 삽니다.
몸안에 진액이 부족한 경우 진액(수분, 피, 소화효소, 호르몬및 영양물질을 총컫는 말)의 하나인 소화효소의 분비가 원활하지 않으면서, 입안이 깔깔해지고 밥맛이 없어지면서 밥을 잘 안 먹게 됩니다.
변비가 심한 경우 밑에서 꽉 막혀 있으므로 위에서 안 받아들이게 됩니다.
배앓이가 심하고 위와 장이 잘 뭉치면서 꿈틀운동이 저하된 경우 주는 양을 겨우겨우 먹게 되며 배가 아프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다리가 아파서 자주 업어 달라거나 하는 근육의 연급증상이 잘 일어납니다. 짜증이 많고 잘 징징거립니다.
해독증 체질의 식욕부진 요즘 상당히 많아지고 있는 식욕부진 유형입니다. 모든 음식은 '독소'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독능력이 떨어지면 음식을 거부해서라도 몸을 지켜야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밥을 정말 안 먹게 되며, 음식의 호ㆍ불호가 명확해져서 편식이 심해집니다. 해독증 체질을 개선시켜주면, 식사량이 늘고 편식습관이 사라집니다.
위의 다양한 요인들을 치료하지 않고 무조건 밥을 먹이려고 씨름을 하는 건 아이와 엄마 모두에게 엄청난 소모전입니다. 한약치료와 식습관코칭으로 이 소모전을 쉽게 벗어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밥을 잘 안 먹는 아이들은 명확한
원인이 있습니다.
먹기 싫어서 안 먹는 것이 아니라 먹을수가 없어서 안 먹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찾아서 해결해 주어야 합니다!
치료후기